수냉식 냉각기의 냉각 용량은 시스템의 작동 상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동일한 구조, 동일한 속도, 동일한 냉매 유형의 압축기의 경우 작동 조건의 변화, 냉각 용량 및 에너지 소비의 변화로 인해 작동 관리도 달라지며 그에 따라 변경됩니다.
1. 증발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압축기의 압축비가 높아지며, 생산냉각의 단위에너지 소모량이 증가한다. 증발온도가 1℃ 낮아지면 3~4%를 소모한다. 따라서 증발온도차를 최소화하고 증발온도를 높이면 에너지 소비가 절약될 뿐만 아니라 냉장실의 상대습도도 높아진다.
2. 응축온도가 높을수록 압축기의 압축율이 높아지며, 단위냉각능력당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한다. 응축 온도는 25°C ~ 40°C 사이입니다. 1°C 증가할 때마다 소비 전력은 약 3.2% 증가합니다.
3. 응축기와 증발기의 열교환면이 오일층으로 덮이게 되면 응축온도가 상승하고 증발온도가 하강하여 냉각능력이 저하되고 소비전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응축기 내부 표면에 0.1mm 두께의 오일층이 쌓이면 압축기의 냉각능력은 16.6배 감소하고, 소비전력은 12.4배 증가합니다. 오일이 0.1mm 두께의 내부 표면 증발기인 경우 미리 결정된 저온 요구 사항을 유지하기 위해 증발 온도는 2.5°C 떨어지고 소비 전력은 9.7 증가합니다.
4. 응축기에 공기가 쌓이면 응축기의 압력이 상승합니다. 비응축성 가스의 부분압력이 1.96105Pa에 도달하면 압축기의 소비전력은 18배 증가해야 합니다.
5. 콘덴서 벽의 스케일이 1.5mm에 도달하면 온도 교정 전 응축 온도는 2.8°C 상승하고 소비 전력은 9.7배 증가합니다.
6. 증발기의 표면은 성에층으로 덮여 있어 열전달 계수가 감소합니다. 특히 핀 튜브의 반투명 외부 표면은 열 전달 저항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핀 사이의 공기 흐름을 어렵게 만들어 외관을 감소시킵니다. 열전달 계수 및 방열 면적. 실내 온도가 0 ° C보다 낮을 때 증발기 튜브 그룹의 양쪽 온도 차이가 10 ° C이면 증발기의 열 전달 계수는 프로스팅 전 한 달 동안 약 70입니다.
7. 압축기가 흡입하는 가스는 어느 정도 과열을 허용하지만 과열이 너무 크면 흡입 가스의 비량이 증가하고 냉각 용량이 감소하며 상대적 전력 소비가 증가합니다.
8. 성에를 압축할 때에는 소형 흡입밸브를 빨리 닫아 냉각능력을 대폭 줄이고 소비전력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십시오.